Soy's Devlog
기업용 개발자 라이센스 발급 과정 본문
이전에 업무 때문에 안드로이드와 iOS의 개발자계정을 발급 받아야 했는데, 개인용 계정을 발급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어서 정리해 두고 싶었다.
Android 계정
안드로이드 이기 때문에 회사 앞으로 구글 계정이 있어야 한다. Gmail 계정이 발급되었다면 구글 개발자 콘솔로 접속해 준다.
https://play.google.com/console/u/0/signup
Google Play Developer Console
하나의 계정으로 모든 Google 서비스를 Google Play Developer Console로 이동하려면 로그인하세요.
accounts.google.com
먼저 개인인지 조직 또는 비즈니스용 인지 나뉘어있는데 비즈니스 용을 선택해 준다.
이후 담당자와 개발자의 이름, 조직정보를 형식에 맞게 입력해 주고 결제정보를 입력하면 바로 발급이 완료된다.
전화번호는 국가코드도 함께 입력해 줘야하는데 한국의 경우 82번이기 때문에 +82로 시작한다
예를 들어 번호가 010-1222-1111 이라면 +821012221111 와 같이 맨 앞의 0 한글자는 빼고 국가코드를 붙여 입력 해줘야 한다.
입력 후 하단의 약관을 동의해 주고 결제 및 발급 버튼을 누르면 결제창이 나타난다.
가격은 한화로 대략 3만원이 조금 넘는 가격이고, 최초 1회만 발생하기 때문에 매년 갱신할 필요는 없다.
여기까지 했다면 구글 개발자 계정 발급이 완료되어 플레이콘솔 창으로 전환된다! 아주 간단하고 빠르다..👍
iOS 계정
참고로 iOS는 좀 까다롭다.. 경우에 따라 더 까다로울 수 있다😭
먼저 애플 개발자 사이트로 이동한다.
Apple Developer
There’s never been a better time to develop for Apple platforms.
developer.apple.com
상단의 메뉴 중 Account로 이동하여 로그인을 먼저 진행해 준다. icloud계정이 없다면 구글과 마찬가지로 생성 후 진행하면 된다.
애플은 최초 혹은 확인 되지 않은 브라우저의 접속에 대해 6자리 숫자코드를 입력하는 이중인증 절차를 거친다.
이중인증 코드를 입력 후 약관창이 나온다. 동의 후 submit 처리 해 준다.
Getting Started 창으로 전환되는데 메인화면의 하단에 개발자 프로그램에 가입하라는 아래와 같은 배너가 보인다.
클릭하면 Apple Developer Program 창으로 전환되는데 이곳에서 실제 개발자계정을 발급하고 관리할 수 있다.
우측의 Enroll 을 클릭하여 본격적으로 발급을 할 수 있다!
애플은 개발자 계정의 발급 용도가 개인일 때와 특정 조직일 때 요구하는 조건이 다르다.
개인
- 애플 계정
- 이중인증 활성화
- 개인정보(주소, 전화번호, 결제정보 등)
기업 또는 조직
- 애플 계정
- 이중인증 활성화
- DUNS번호
( 미국의 Dun&Bradstreet 라는 회사에서 발급하는 9자리의 기업 상태 식별용 번호 ) - 실제 존재하는 기업일 것 ( DBA,가상 기업은 불가 )
- 개발자 계정 발급 권한을 가지고 있는 담당자일 것
( 기업의 대표,임원,프로젝트 리더,선임직원 이 부여한 법적 권한을 가져야 함. 한마디로 기업의 허락을 맡고 합의가 된건지 묻는 것 ) - 기업 공식 웹사이트
DUNS번호
DUNS번호는 기업이 가지고 있을 경우 그대로 입력하여 진행할 수 있지만, 앱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지 않은 기업의 경우 신규로 발급을 받아야 한다. 다행히 애플 플랫폼 내에서 DUNS번호를 조회하고 없다면 무료로 발급까지 진행 해 주는데,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 후 발급까지 진행 할 수 있다.
https://developer.apple.com/enroll/duns-lookup/#!/search
로그인 - Apple
idmsa.apple.com
기업의 영문사업자 등록증에 있는 주소와 전화번호, 영문 법인명 등을 입력하고 진행하면 해당 기업에 할당된 DUNS 번호가 존재 하는지 확인 해 준다.
넘버가 없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되며 하단에 제출 버튼이 있다. 제출하면 애플이 DUNS번호를 발급할 수 있도록 요청해 준다..!
요청을 했다면 입력한 기업의 연락처나 이메일로 dsmmssqladmin@... 로 시작하는 발신자로 부터 요청 승인 메일이 온다.
이 후 평균 5일 길어도 2주 내로는 DUNS번호를 받아 볼 수 있다
메일을 받고 나면 Apple Developer Program 에 다시 접속하여 Enroll 을 진행해 주면 된다.
기업정보가 모두 기입되었으면 Legal Entity Name에는 기업의 영문 법인명을 입력하고 DUNS번호와 자동입력방지 코드를 입력 해 준다.
이 후 개발자 계정 생성에 대한 약관에 동의한 후 continue 해 준다
이 후로는 결제금액 등을 확인하고 신용카드 정보와 결제정보를 입력 해 준다.
가격은 129000원으로 1년마다 재결제를 해 줘야 한다. 구글과 비교해서 금액도 훨씬 비싸고 심지어 1년만 유지되는 상황..!
모두 입력 후 주문검토를 누르면 결제까지 완료되어 개발자계정이 발급완료된 것이다!
만약 애플에 DUNS번호 관련해서 문의 사항이 있다면 아래 링크로 문의하면 된다
https://developer.apple.com/kr/support/D-U-N-S/
D-U-N-S® 번호 - 지원 - Apple Developer
포럼 Apple 엔지니어 및 다른 개발자에게 개발 주제에 관해 질문하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포럼 보기(영문)
developer.apple.com
사담 >
나의 경우엔 해당 조직을 찾았고 재직중인 회사의 DUNS번호가 존재하며 심지어 번호까지 안내 해줬는데 애플로부터 안내받은 번호를 입력하니 유효하지 않다고 하여 발급 요청을 진행 했지만 직접 DUNS번호를 발급 받으라며 메일이 왔다.... 안내 해준대로 했는데 무슨일인가 싶었다 🤨
중간에 회사가 이사를 해서 주소가 변경 되었는데 그것 때문인 것 같았다. 부서와 협의 후 DUNS번호를 따로 발급 받기로 했다..
참고로 발급 받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1. d&b fedgov 사이트에서 직접 발급 ( 무료 )
https://fedgov.dnb.com/webform/pages/CCRSearch.jsp
일일히 입력하고 메일 주고받고..등등 번거롭긴 하지만 무료로 발급할 수 있다.
2. niced&b 국내 업체에 발급대행 ( 유료 )
https://global.nicednb.com/servOtsInfo.do
Global NICE D&B
공공기관 - 대한민국 조달청 - EU(European Union 유럽연합) - UN(United Nation 국제연합) - NATO(북대서양 조약기구), NCS/EAN/UCC - The United Arab Emirates (아랍에미리트 정부) - United Kingdom (영국 정부) - United States
global.nicednb.com
신규신청 450,000원 급행 650,000원 등 가격표와 정보들이 상세히 나와있다. 비용이 만만치 않지만 추후 개발담당자가 변경되거나 회사가 이전하거나 하는 등 변경사항이 생길 때 관리하기는 더 편할 것이다. 이 부분은 기업과 협의해서 결정하면 되는 부분인 것 같다.
여기서 부터는 무료 발급의 험난한 과정을 기록했다.
dnb 사이트에서 국가를 선택하고
기업의 이름과 정보를 입력 후 확인하면 해당 기업의 정보가 있는지 알 수 있다.
이 때 아래와 같이 기업정보가 있다면 다행이지만, 없다면 이제부터 좀 번거로워 진다.....마음의 준비를 하고
Request a New D-U-N-S Number를 클릭 해 준다.
아래의 기입란에 영문 사업자 등록증에 있는 정보들을 입력해 주고
한번 더 확인입력도 해 주고~ Yes,Continue 진행
Contact Information 에 담당자 또는 연락가능한 사람의 정보를 기입하고 submit 을 해준다.
여기까지 했다면 일단 신청은 된 것이다! 하지만 끝난 것은 아니다ㅋㅋ 메일 핑퐁과 추가정보 전달이 남았다.
신청완료 되었다는 메일을 받은 후, 2일 내로 메일이 하나 더 온다.
수신한 메일을 SAMhelp@dnb.com 으로 전달 해 주면 메일이 인증되고 계속 진행 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전달하고 나면 또! 메일이 온다.
위의 내용들을 기입하여 답장을 달라는 것인데 SAM ID가 뭔가 했더니 미국정부에서 관리하는 사업자번호 라고 생각하면 된다.
아래의 사이트에서 메인의 Get Started 를 클릭 후 기업정보를 입력하여 계정을 생성하면 SAM ID가 발급된다.
전화번호는 82-xxxxxxxxx 와 같이 입력해 주면 된다.
SAM.gov | Home
sam.gov
메일로 요구한 정보를 모두 기입 후 회신하면 몇 일 내로 DUNS번호가 발급되었다는 메일이 온다!
메일이 반려되고 개인적으로 발급받으라는 이 모든 과정 속에서 DUNS번호 발급과 개발자계정 최종 발급까지 2주가 훨씬 넘게 걸렸고 담당자로서 스트레스도 받았다 🤯
개인적으로 이 과정을 진행하면서.. 회사가 앱은 처음 만들어서 그런지 가이드라인도 레퍼런스도 거의 없는 상황이라 이런 우여곡절이 많았고 앱 서비스를 운영중인 회사는 거의 유료로 발급받아 관리하고 있지 않을까 싶었다.
앞으로도 계속 서비스를 운영할 거라면 유료로 하나 발급받는게 어쩌면 변동사항이 생겨도 관리하기 쉽겠다고 생각이 들었지만.. 그건 내가 결정할 수 있는게 아니니까ㅎㅎ 그래도 발급하고 스토어에 배포까지 하고나니 뿌듯했다.
'ETC >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인과 해결 (0) | 2021.12.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