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ETC (3)
Soy's Devlog

이전에 업무 때문에 안드로이드와 iOS의 개발자계정을 발급 받아야 했는데, 개인용 계정을 발급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어서 정리해 두고 싶었다. Android 계정 안드로이드 이기 때문에 회사 앞으로 구글 계정이 있어야 한다. Gmail 계정이 발급되었다면 구글 개발자 콘솔로 접속해 준다. https://play.google.com/console/u/0/signup Google Play Developer Console 하나의 계정으로 모든 Google 서비스를 Google Play Developer Console로 이동하려면 로그인하세요. accounts.google.com 먼저 개인인지 조직 또는 비즈니스용 인지 나뉘어있는데 비즈니스 용을 선택해 준다. 이후 담당자와 개발자의 이름, 조직정보를 형식에 맞게..

API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의 약자이고, 응용프로그램 간에 통신을 할 때 적용되어야 할 공통의 규칙과 기준을 정의한 것. 어떻게 통신할지 방법을 정의해놓은 것인데, 응용프로그램이나 운영체제 등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용도로 쓰인다 WEB API HTTP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웹서버나 웹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제공되는 API이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에서 통신하기 위한 대표적 프로토콜. 클라이언트가 웹을 통해 해당 프로토콜의 요청을 보내 서버로 request(요청)하면 서버가 해당 response(응답)을 웹으로 보내준다. 우리가 알고있는 http://example.com/pop 과 같은 web 주소(링크) 가 ..

웹으로 평소 이용하던 개발자 커뮤니티에 접속한 순간 이런 화면을 만났다. 이런경우 무시한 채 강제로 이동하라는 메세지를 클릭하면 페이지는 전환되기는 한다.. 하지만 보안은 장담할 수 없다는점! 이번엔 그것조차 불가했고, 나에게 문제가 있나 싶어 찾아보니 이런경우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들이 있었다. 1. PC설정에서 시간을 현재시간으로 재설정 한다. 2. 맥의 경우 키체인을 확인한다 1) 내 인증서 중 빨간 엑스표시가 떠있는 웹 인증서가 있다면 2) 인증서의 신뢰를 사용시 항상 허용하는 것으로 바꿔준다. 3. 브라우저의 쿠키 및 사용기록을 모두 삭제하고 다시 시도해 본다. 1번 2번 모두 소용없었고 마지막으로 쿠키와 사용기록을 모두 삭제 한 후 다시 시도해 보니 여전히 해당 화면은 그대로 뜨지만 강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