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y's Devlog
리눅스 파일시스템과 기본명령(3) 본문
이전글과 이어집니다.
https://tremexplo.tistory.com/45
리눅스 파일시스템과 기본명령(2)
이전 글과 이어집니다.https://tremexplo.tistory.com/entry/ls-lrt-java 접근 권한리눅스에서는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접근하는 것을 막기위해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적
tremexplo.tistory.com
리눅스 시스템에는 프로그램의 설정파일이나 셸 스크립트 등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많은 종류의 텍스트 파일이 존재한다.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여 파일을 작성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내용만 확인하는 경우 화면에 출력 시켜주기만 하면 된다.
이때 사용하는 명령들은 실제 파일 내용이나 로그를 확인할 때 가독성있게 볼 수 있게 해주므로 알아두면 편리하다!
파일의 내용 보기 : more
more 명령은 파일이 내용을 화면단위로 끊어서 보여준다.
특정 파일의 내용을 출력했는데 한 화면에 모두 보여줄 수 없을 떄는 '--more--(75%)' 와 같이 메세지가 나온다.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다음화면으로 이동하고 종료할 때는 q를 누르면 된다.
옵션 | 설명 |
-n | n 개의 행을 단위로 보여준다. |
+n | 시작할 때 n행부터 보여준다. |
-s | 여러줄의 빈줄을 한 줄로 보여준다. |
파일의 내용 보기 : less
less 는 more처럼 화면단위로 보여주지만 more의 개선된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more와 다른점은 이미 스크롤 되어 지나간 내용을 거슬러 올라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page up/down 키로 화면단위로 스크롤이 가능하고 방향키로 1줄씩 스크롤이 가능하다. 그 외 내부명령들이 있는데 내부명령 앞에 숫자를 지정하면 지정한 n개 라인 단위로 다양하게 찾아볼 수 있다.
내부명령 | 설명 |
d 또는 ^D | 다음 n개 라인을 스크롤한다. 기본은 화면의 절반크기이며 n이 지정되면 다음에 수행하는 d 또는 u의 기본값이 됨. |
b 또는 ^B | 거슬러 n개 라인을 스크롤한다. 기본은 화면크기이며 n이 화면크기보다 크면 마지막 화면만 보인다. |
p 또는 % | n 퍼센트의 위치로 간다. |
head와 tail
파일의 전체 내용을 볼 필요는 없고 처음 또는 마지막 부분에 일부 내용을 보려고 할 때 사용한다.
head /etc/passwd #파일의 처음 10개 라인확인
tail /etc/passwd #파일의 마지막 10개 라인확인
10개 라인은 기본값으로 정해져 있는데 확인할 라인 개수를 변경하려면 -n num 또는 -num 옵션을 사용한다.
예) > head -n 20 /etc/passwd
또는 num번째 라인부터 끝까지 보고 싶다면 tail 명령에서 -n +num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예) > tail -n +50 /etc/passwd
특히 tail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파일이 내용을 볼 수 있게 하는 옵션이 있다. -f 옵션을 추가해 주면 로그 파일과 같은 내용의 실시간 변화를 볼 수 있다.
cat
하나의 파일을 출력하거나 여러파일을 연결시켜 화면에 출력해 주는 명령이다.
여러 파일을 합쳐서 새로운 파일을 만들고자 한다면 입출력 리다이렉션 기호 중 > 를 사용하고 기존파일에 추가하려면 >>를 사용한다.
cat 명령은 여러개의 파일을 인자로 받을 수 있는데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 memo1.txt memo2.txt memo3.txt 가 디렉터리 안에 있다고 가정
cat memo*.txt > last.txt # 애스터리스크는 정렬순서로 확장하여 memo1,memo2,memo3 모두포함
cat last.txt # 합쳐진 내용을 확인한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파일시스템과 기본명령(2) (0) | 2024.04.22 |
---|---|
리눅스 파일시스템과 기본명령(1) (0) | 2024.04.20 |